성공하는 시간관리와 인생관리를 위한 10가지 자연법칙
생산성의 3등식
자신의 삶에 핵심가치를 파악하고 중요한 사건들부터 처리 할 수 있는 사건 컨트롤을 잘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자부심이 내려가면 생산성이 떨어진다. 생산성이 떨어지면 사건 컨트롤도 떨어진다. 역 명제도 똑같이 성립한다.
자부심, 생산성, 컨트롤 중에 가장 쉬운 것은 컨트롤이다. 자신의 생활의 사건 컨트롤을 더 잘할수록 자부심과 생산성은 같이 얻게 된다.
사건을 컨트롤하고 자신의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 마음의 평화를 얻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자신의 핵심가치, 자신의 삶에서 소중한 것들을 파악해야 한다. 두 번째로 자신의 핵심가치에 우선순위를 두고 처리해야 할 사건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신의 삶에 핵심가치를 파악하고 핵심가치 중에 우선순위를 두고 중요한 사건들부터 처리 하는 것이다.
후기
자신의 삶에 소중한 것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고 우선순위를 두고 중요한 것들부터 하나하나 컨트롤 한다면 삶이 훨씬 행복해질 것이다.
사건 컨트롤과 생산성의 3등식은 간단하고 당연한 명제이다. 이 명제를 실행에 옮겨 사건 컨트롤을 보다 완벽하고 조화롭게 할 수 있다면 마음의 평화와 삶의 만족감은 물론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시간도둑
시간낭비 습관은 소중한 사건들을 컨트롤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데 걸림돌이 된다.
사람들은 미래의 시간이 많은 것이라 생각하고 시간을 미룬다. 또 시간을 저축 할 수 있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며 저축할 수도 없다. 즉 자신이 지금 어떤 일에 시간을 할애하면 진정 소중한 일을 할 시간은 줄어든다.
이런 시간낭비의 주범인 시간도둑들은 남들이 부과한 것과 스스로 부과한 것들이 있고 이런 시간도둑들은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특히 생산성의 3등식에 적용해보면 이런 시간낭비의 기회비용은 엄청나게 높다. 자신의 삶의 소중한 것에 시간을 쏟기 위해서는 시간 도둑들을 제거해야 한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시간도둑
방해에 의한 중단
뒤로 미루기
우선순위의 변경
엉성한 계획
대답 기다리기
위의 시간도둑들은 이미 우리의 삶에 대부분 습관화 되어있다. 이 시간도둑들을 제거하지 않으면 앞으로의 인생도 계속해서 시간을 허비 할 수밖에 없고 이런 시간도둑들은 우리가 행복한 인생을 사는데 걸림돌이 된다.
후기
인생에 주어진 유한한 시간들을 더 가치 있게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또 노력하는 것은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다.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실수 할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고 앞으로의 인생을 최선을 다해 의지와 열정을 다해 산다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방해에 의한 중단
중단의 상황을 적절하게 이해하여 파악하고 방해로 인한 중단의 상황을 효율적으로 이끌어야 한다.
불필요한 중단
필요한 중단
시의 적절하지 못한 중단(필요한 중단이지만 시기가 적절하지 못한 중단)
중단의 유형을 빨리 해결하는 효과적인 도구는 정곡 돌파형 질문이다.
정곡 돌파형 질문은 곧바로 방해의 요점을 상대에게 질문을 던져 대화의 주체를 상대에게 넘기는 것과 동시에 상대의 방해를 정당화하라는 미묘한 메시지를 전한다. 상대방이 이 질문에 대답을 하면 즉시 우선순위와 대응의 필요한 시간 등을 적절히 파악하여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정곡 돌파형 질문은 상대방의 방해가 필요에 의한 중단이 아닐 경우 상대감정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불필요한 중단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중단이라고 하여 반드시 나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고 불필요한 중단처럼 보이지만 의외의 기회의 방해 일 수도 있다. 즉 방해의 관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유리한쪽으로 해결하며 기회를 포착할 줄 알아야 한다.
후기
긍정적인 통찰로 대인관계에서 상대로 인한 방해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대인관계에서 상대로 인한 시간손실의 기회비용은 상당히 크다. 명백히 불필요한 중단 일 경우 상대의 감정을 상하지 않게 하는 선에서 이런 상황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줄 알아야 한다.
정곡돌파형 질문은 이런 상황에서 효율적일 것 같다. 또한 방해로 인한 중단을 부정적인 측면으로만 보지않고 기회로 볼 수 있는 긍정적인 통찰력이 필요할 것 같다.